티스토리

Taedi's Blog
검색하기

블로그 홈

Taedi's Blog

taedi.kr/m

태디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4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버섯구름? (2021.07.17) 적란운 같기도 하고 마치 핵폭탄이 터진 것 처럼... 버섯구름이 솟아 오르고 있다. 처음 봤던 구름....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 17.
  • 여러해의 가을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 17.
  • 2021년 가을....역대급으로 대기가 깨끗했던 9월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 17.
  • 수원천 여름과 겨울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 17.
  • 비 온뒤 하늘 그리고 무지개 공감수 2 댓글수 0 2014. 8. 10.
  • 방화수류정 용연(龍淵) 방화수류정에서 아래쪽을 내려다 보면 용연이란 못이 보인다. 정조대왕이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모셔져 있는 용주사에 들린후 항상 방화수류정 마루에 앉아 용연을 한참동안 쳐다보다 가셨다고 한다. 정조대왕의 오언율시中 : http://blog.naver.com/oscar12/130095657521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 정조 대왕이 1794년(정조 18) 수원 천도를 위해 화성을 축조할 때 성곽 위에 꾸며졌던 정자와 누각 가운데 하나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과 용연(龍淵) 공감수 2 댓글수 4 2014. 4. 8.
  • 화홍문(華虹門) 화홍문(華虹門) : 수원화성 북쪽에 위치한 수문 수원화성의 북수문이며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천의 범람을 막아 주는 동시에 방어적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물이 흐르는 7개의 문을 홍예문이라 하고 중앙의 문 하나가 폭이 크고 나머지는 모두 같다. (참고 : 두산동아 백과) 화홍문 오른쪽으로는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이 있고 그 넘어로는 용연(龍淵)이라는 못이 있다. 갈수기에 비까지 내리지 않아서 흐르는 물의 양이 적다. 공감수 3 댓글수 4 2014. 4. 8.
  • 화서문과 장안문 화서문(華西門) : 보물 제403호 수원 화성의 서쪽에 있는 문이며 수원시의 마크가 화서문을 모델로 디자인 되었다. 수원시 마크 : 출처 : 수원시 상질물 웹사이트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화서문의 위쪽에 있으며 서북공심돈 역시 화서문과 함께 수원시의 마크 에 같이 다지인 되었다. 화서문과 서북공심돈 북포루(北鋪樓)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과 북서포루(北西砲樓) 사이에 있으며 군사들이 몸을 숨기고 있다가 성벽에 다가서는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안문(長安門) : 화성의 북쪽에 위치 공감수 0 댓글수 0 2014. 4. 8.
  • 진달래 봄의 전령 진달래 봄의 시작을 알리는 진달래 꽃으로 개나리와 함께 대표적인 봄의 전령사이다. 팔달산의 진달래는 크게 군락을 이루고 있지 않지만 다른 꽃들과 어울어져 감상하기에 부족함은 없다. 공감수 4 댓글수 2 2014. 4. 7.
  • 서장대 (화성서장대:華城西將臺) ※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서장대(화성서장대:華城西將臺)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화성에 포함되어 있다. 팔달산 정상에 있으며 수원시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기도 하다. 서쪽의 높은 곳에 만들어 장수가 올라가서 지휘하는 곳이다. 안타깝게도 2006년 5월 1일 새벽에 방화로 인해 소실되었다가 . 복원되었고, 또 1996년에도 불이 난 적이 있다. 다시는 이런 불행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한다. 화성장대(華城將臺) 정조가 직접 편액(扁額)을 직접 썼다. 서노대(西弩臺) : 오른쪽 이곳에서는 군사 명령에 따라 오방색 깃발을 흔들어 명령을 전하기도 하고, 또 쇠뇌라는 큰 화살을 날리기도 하였다 서노대에 오르면 성밖의 서쪽이 한눈에 들어 오며 적으로부터 군사 지휘소를 효과적으로 보.. 공감수 2 댓글수 4 2014. 4. 6.
  • 팔달산 벚꽃 ※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평일에 올라온 팔달산이다. 이곳도 벚꽃이 만개 했다. 사람은 많지 않어서 벚꽃을 구경하기는 좋았다. 나무에서 잎이 나오는 것을 보니 머지 않아 꽃이 떨어질 것 같다. 예년과 달리 3월말까지 이상기온으로 따듯해져서 벚꽃의 개화시기가 2주이상 빨라졌다고 한다. 4월 초가 되지 꽃을 시샘하는 추위가 왔고 바람이 불어 벚꽃이 많이 떨어졌다. 벚꽃을 구경하기 위해 평소 보다 사람이 많이 팔달산을 찾았다. 서장대 올라가는 길은 진달래와 개나리까지 피어 장관을 이루었다. 이따금씩 외국인 관광객들도 보였다. 내일은 주말이고 비도 온다는데 날씨 좋은 평일에 온것을 잘한거 같다. 공감수 3 댓글수 4 2014. 4. 6.
  • 수원천 벚꽃과 풍경 ※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자전거 횡단후 오랜만에 장농에서 잠자던 카메라를 꺼내 수원천에 나갔다. 화려하진 않지만 벚꽃 개화시기라 꽃들이 화사하게 폈다. 바람은 다소 불었지만 날씨가 하늘도 맑고 좋았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바람까지 불어 벚꽃이 많이 떨어지긴 했지만 지금이 딱 절정인 듯 하다. 아직 개천은 겨울잠을 자고 있다. 벚꽃과 함께 개나리도 화사하게 폈다. 조팝나무 수원천 팔달문 일대에는 몇년전까지만 해도 복개가 덮여 있었는데 청개천 처럼 복개를 걷어 버리고 자연하천으로 다시 되돌리는 공사를 했다. 그 덕분에 수원천을 찾는 사람들도 많아 졌고 광교저수지까지 자전거도로 와 산책로가 연결됐다. 또 수원화성과도 한층 가까워졌다. 수원 팔달문 근처 지동시장 공감수 1 댓글수 2 2014. 4. 6.
  • 쉐보레 카마로 일명 "범블비" 한국에서는 트랜스포머의 "범블비"로 더 유명한 쉐보레 카마로 입니다. 용산역에 갈일이 있어서 전시되어 있어서 몇장 찍었습니다. 사람들이 유독 관심을 보이는 것 같았습니다.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스타일의 차라 그런지 호기심에 나이 많이 드신 어르신들도 한번씩 지나가시면서 시선이 차쪽으로 모아졌습니다. 쉐보레 카마로 제원 주요제원 엔진형식 V6 배기량 3600 연료 가솔린 연비 - 최대출력 304hp 구동방식 후륜(FR) 변속기 자동6단 인원 4인승 엔진 엔진형식 V6 배기량 3600 연료 가솔린 최대출력 304hp 최대토크 37.0kg.m 치수 전장(㎜) 4836 전폭(㎜) 1918 전고(㎜) 1376 축거(㎜) 2852 윤거 전(㎜) 1618 윤거 후(㎜) 1628 공차중량 - 전륜타이어 245/45 R..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3. 5.
  • 제주도 자전거 일주 6일간의 정리 공감수 1 댓글수 0 2009. 9. 5.
  • Again Seattle 다시 가고 싶은 시애틀... 2010년 자전거 세계일주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7. 28.
  • 수원화성 일주 (3) 장안문(북문)에서 화홍문을 거쳐 창룡문(동문)쪽으로 가는 코스입니다. 화성의 장안문입니다. 화홍문에서 팔달문쪽으로 사진을 찍으려고 각도를 잡았는데 수원천에 흰새가 고기를 잡으려고 물속을 주시하고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백로였습니다.정확히는 노랑부리백로(chinese egret) 입니다. 냇가로 내려가서 줌을 당겨서 몇 장을 찍어봤습니다. 사진을 찍는 시간대가 점점 어두워지는 때였고 제가 가지고 있는 줌렌즈 자체가 조리개 추시가 F4~5.6 여서 멀리 있는 새를 찍기엔 조금 무려였습니다.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사진이 어둡게 나왔습니다. 보정을 해보려고 했으나 그냥 칼라보정만 하고 원본 리사이즈만 했습니다. 화홍문과 방화수류장입니다. 사진엔 보이지 않지만 활을 쏘는 연무대가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창룡문이 있습.. 공감수 2 댓글수 0 2008. 10. 21.
  • 수원화성 일주 (2) 화서문(서문)을 거쳐 장안문(북문)쪽으로 일주를 계속 했습니다. 계속해서 하늘이 사진 찍는데 도움을 안주네요... 수원화성 화서문입니다. 서장대로 올라가는 쪽 성곽입니다. 서장대 올라가려고 하던중 그 앞에서 통행을 못하게 제지를 하였습니다. 알아보니 강지훈, 김하늘 주연의 7급곰우원이란 상업영화 촬영중이었습니다. 영화배우라 그런지 김하늘은 TV에서 보는 모습 그대로 예쁘고, 강지훈은 인상쓰는 포스가 대단했습니다. 영화 항공촬영 장비입니다. 이 놈의 까치가 계속 제주변을 따라다니네요... ㅎㅎ 공감수 2 댓글수 0 2008. 10. 21.
  • 수원화성 일주 (1) 일요일 오후에 수원화성으로 출사를 나갔습니다. 수원에 5년 살면서도 한 번도 수원화성 전체를 일주해본 적이 없는데 오늘 큰 마음 먹고 장장 5.7Km 나 되는 수원화성을 일주하기로 결심하고 돌아다녔습니다. 시작은 수원시립도서관 앞 팔달산 오르는 팔달산 일주도로에서 부터 시작하였습니다. 일요일이라 연인, 가족단위로 나들이로 나온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더러 외국인도 많이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일본인 관광객이 가장 많았고, 그외 미국, 유럽, 아시아권에서 온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이 날은 사실 사진찍기는 최악의 조건이었습니다. 가을인데도 장기간 비가 오지 않은데다가 대기중에 먼지와 스모그 현상까지 발생하여 공기도 많이 않좋았습니다. 이런날은 어린이나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들에겐 최악의 날이라고도 하지요.... 공감수 1 댓글수 0 2008. 10. 21.
  • 수원화성 - 장안문(북문), 화서문(서문) 4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조명에 비춰진 수원화성을 넋을 잃고 보고 있노라면 잠깐이지만 그 아름다움에 심취해 황홀경에 빠져버리게 됩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08. 10. 3.
  • 수원화성 - 장안문(북문), 화서문(서문) 3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수원화성에 밤에 가보면 조명이 은은하여 매우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한거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조명이 단조롭고 똑같은 조명만 있어 지루한 감이 없지 않습니다. 상황에 맞게 조명의 빛의 세기라든가 비추는 방향을 다르게 하여 변화를 주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08. 10. 3.
  • 수원화성 - 장안문(북문), 화서문(서문) 2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수원화성과 도시의 야경이 한대 어우러져 밤의 조화를 이룹니다. 조선시대 그리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수원화성이 정말 잘 보존되어 왔다는 것이 그간에 얼마나 수원화성을 지키려고 지금껏 노력해왔다는 것을 새삼 숙연해집니다. 한편 서울의 4대문과 그 주변을 잇는 사대문이 수원화성처럼 잘 보존돼 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더욱이 올초 국보1호 숭례문(남대문)이 불타 소실됐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이 아픈지 안타까움만 더할 따름입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08. 10. 3.
  • 수원화성 - 장안문(북문), 화서문(서문) 1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 성곽 위에 빛을 발하는 누각이 몇 년전에 어떤 사람이 화풀이로 방화를 해서 불타 없어진 서장대 입니다. 지금은 복원을 해서 예전 모습을 다시 찾았습니다. 좀 아쉽다면 불타기 이전이나 지금이나 방화에 대한 대책은 달라진 것이 없다는 점입니다. 불순한 의도로 접근하여 다시 방화를 시도해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어 방화에 대한 안전대책이 시급합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08. 10. 3.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