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NON EOS-6D7

미국 자전거 횡단 #33 [~63일] 버팔로의 환한미소 뒹케르크 ~ 버팔로(7월 28일) 출발하려고 키를 반남하려 들어갔는데 아주머니가 씨리얼과 커피 있으니 먹고 가라고 했다. 동부쪽은 인도사람들이 숙박업을 많이 하는것 같다 며칠전에도 인도인이 운영하는 모텔에서 잤는데 어제 왔던 이곳도 역시 인도인이 운영을 한다. 아침식사 챙겨주신 모텔 주인 아주머니 버팔로까지 36마일인데 오늘안으로 충분히 갈 수 있을 것 같다. 버팔로가 가까워지면서 이리호수와 근접해서 호수를 볼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갔는데 하늘이 잔뜩 흐려 있다. 맑은 하늘과 호수가 어울어져 있다면 좋았을텐데 아쉽다. 마트에서 사과와 오레오, 파워에이드를 샀다. 먹구름 사이로 하늘이 보이는데 오후에는 날씨가 맑아 질 것 같다. 5번과 20번 두개의 하이웨이가 갈라지고 2차선의 지방도가 교차하며 도로공사까.. 2014. 4. 9.
방화수류정 용연(龍淵) 방화수류정에서 아래쪽을 내려다 보면 용연이란 못이 보인다. 정조대왕이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모셔져 있는 용주사에 들린후 항상 방화수류정 마루에 앉아 용연을 한참동안 쳐다보다 가셨다고 한다. 정조대왕의 오언율시中 : http://blog.naver.com/oscar12/130095657521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 정조 대왕이 1794년(정조 18) 수원 천도를 위해 화성을 축조할 때 성곽 위에 꾸며졌던 정자와 누각 가운데 하나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과 용연(龍淵) 2014. 4. 8.
화홍문(華虹門) 화홍문(華虹門) : 수원화성 북쪽에 위치한 수문 수원화성의 북수문이며 남북으로 흐르는 수원천의 범람을 막아 주는 동시에 방어적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물이 흐르는 7개의 문을 홍예문이라 하고 중앙의 문 하나가 폭이 크고 나머지는 모두 같다. (참고 : 두산동아 백과) 화홍문 오른쪽으로는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이 있고 그 넘어로는 용연(龍淵)이라는 못이 있다. 갈수기에 비까지 내리지 않아서 흐르는 물의 양이 적다. 2014. 4. 8.
진달래 봄의 전령 진달래 봄의 시작을 알리는 진달래 꽃으로 개나리와 함께 대표적인 봄의 전령사이다. 팔달산의 진달래는 크게 군락을 이루고 있지 않지만 다른 꽃들과 어울어져 감상하기에 부족함은 없다. 2014. 4. 7.